가보자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가보자구!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21)
      • 개념정리 (20)
        • HTML (0)
        • CSS (3)
        • Javascript (3)
        • jQuery (0)
        • React (6)
        • CS (3)
      • TIL (0)
      • 문제풀이 (0)
      • 프로젝트 (1)

    검색 레이어

    가보자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쿠키, 세션, 토큰

      2023.12.31 by 과부하가보자구

    • 호이스팅

      2023.12.31 by 과부하가보자구

    •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

      2023.12.31 by 과부하가보자구

    • JWT

      2023.12.23 by 과부하가보자구

    • 요청 메소드 POST와 GET의 차이

      2023.12.23 by 과부하가보자구

    • CSS_Block요소 & Inline요소

      2023.12.23 by 과부하가보자구

    • GIT(git reset&revert&checkout)

      2023.12.16 by 과부하가보자구

    • git clone과 remote, pull

      2023.12.16 by 과부하가보자구

    쿠키, 세션, 토큰

    보통 서버가 클라이언트 인증을 확인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쿠키, 세션, 토큰 3가지 방식이 있다. Cookie 인증 쿠키는 Key-Value 형식의 문자열 덩어리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 설치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각 사용자마다의 브라우저에 정보를 저장하니 고유 정보 식별이 가능한 것이다. Cookie 인증 방식 브라우저(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접속)을 보낸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때,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고 싶은 정보를 응답 헤더의 Set-Cookie에 담는다.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보낼 때마다, 매번 저장된 쿠키를 요청 헤더의 Cookie에 담아 보낸다.서버는 쿠키..

    개념정리/CS 2023. 12. 31. 15:12

    호이스팅

    호이스팅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끌어올려서 해당 함수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하는 것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실행되기 전에 함수 안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모두 모아서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한다. 자바스크립트 Parser가 함수 실행 전 해당 함수를 한 번 훑는다. 함수 안에 존재하는 변수/함수선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실행시킨다. 유효 범위: 함수 블록 {} 안에서 유효 즉, 함수 내에서 아래쪽에 존재하는 내용 중 필요한 값들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코드를 실행하기 전 변수선언/함수선언을 해당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며, 끌어 올려진 것 같은 현상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 Parser 내부적으로 끌어올려서 처리하는 것이다. 실제 메모리에서는 변화는 없다.) 이 호..

    개념정리/CS 2023. 12. 31. 15:11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

    브라우저 렌더링의 원리를 알아보기 전 브라우저에 대해 알아보자. Web browser 인터넷에서 웹 서버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때 주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도구를 바로 '브라우저' 혹은 '웹 브라우저' 라고 부른다. 브라우저는 제어판과 같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실행하게되면 주소창을 입력할 수 있는 도구가 나타나게 되는것이다.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참조하고 싶은 웹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의 응답을 받아 브라우저에 보여주는 것이다. 흔히 사용하는 크롬, 인터넷 익..

    개념정리/CS 2023. 12. 31. 15:11

    JWT

    기존 쿠키 세션 동작 방식과 문제점 저장 공간의 용량 세션은 서버의 메모리 내부에 저장이 된다. 유저가 한두명일때야 메모리에 무리가 가지 않겠지만 유저가 수천명인 대형 서비스에서는 세션의 양이 많아지는 만큼 메모리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확장성의 문제 서비스의 규모가 커져서 서버를 여러대로 확장 및 분산해야 한다면 세션을 분산시키는 기술을 따로 설계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 JWT라는 로그인 방식을 도입 JWT JWT(Json Web Token)는 말그대로 웹에서 사용되는 JSON 형식의 토큰에 대한 표준 규격으로 JSON 포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이다. 이름에 있는 JSON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JSON으로 만들어진 인증 관련 정보..

    개념정리 2023. 12. 23. 21:23

    요청 메소드 POST와 GET의 차이

    HTTP 메세지 > HTTP 요청 메세지 > HTTP 응답 메세지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시작라인 요청 메시지 start-line = request-line / status-line request-line = method SP(공백) request-target SP HTTP-version CRLF(엔터) HTTP 메서드 (GET: 조회) 요청 대상 (/search?q=hello&hl=ko) HTTP Version 💫요청 메시지 - HTTP 메서드 종류: GET, POST, PUT, DELETE...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 지정 GET..

    개념정리 2023. 12. 23. 21:22

    CSS_Block요소 & Inline요소

    Block 태그 전체적인 틀을 짠다던지 구조를 만들 때 주로 사용되는 태그이다. box를 치는 태그라고 생각하기 항상 새로운 줄에 태그가 생성한다. 좌우 너비가 100%라서 한 줄을 독차지한다. 공간이 남아있더라도 새로운 태그는 다음 줄에 생성된다. h1 / h2 / h3 / h4 / h5 / h6 div ol / ul / li dl / dt / dd ol : 순서가 필요한 리스트에서 사용하며 li 태그로 리스트를 구분한다. (계약서, 약관, 법조문 등) ul : 순서가 필요없는 리스트에서 사용하며 li 태그로 리스트를 구분한다. (메뉴판, 사이트 메뉴등) dl : 단어 또는 사물등을 설명하는 리스트에서 사용하며 dt, dl 태그로 리스트를 구분한다. (사전 등) dt : 단어 및 사물의 이름을 정의 d..

    개념정리/CSS 2023. 12. 23. 21:19

    GIT(git reset&revert&checkout)

    📌실수로 merge를 했는데 되돌리는 방법을 알고 싶었음!📌 reset & revert & checkout reset $ git reset [파일이름] 실수로 git add의 명령으로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올려버렸을 때 해당 명령어를 통해 다시 working directory로 위치를 되돌릴 수 있다. 한 단계 나아가 최종 git commit의 수행으로 staging area에서 최종 repository로 올리는데 이때 잘못된 커밋 이력이 추가가된 경우, 해당 명령어와 커밋 해시, 옵션을 사용해 함께 입력하여 커밋 이력 되돌리기를 할 수 있다. git log oneline로 커밋 해시를 찾고, git reset 005ba91_커밋 해시(이 커밋으로 되돌리겠다) --..

    프로젝트 2023. 12. 16. 09:17

    git clone과 remote, pull

    📌clone이랑 pull이랑 매번 같이했는데 중복인거 같아서 차이를 확실하게 알고 가기!!📌 연결하기 $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원격저장소URL Git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_clone git에 만들어져있는 repository를 처음의 상태로 가져오는 것 $ git clone 연결하고자하는 저장소 클라이언트 상에 아무것도 없을 때 서버의 프로젝트를 내려받는 명령어이다. 저장소의 내용을 다운로드받고 자동으로 init도 됩니다. 📌저장소를 통째로 가져온다고 생각, 협업시 맨 처음 받아 올 때만 진행하면 됨 Git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_remote 작업하고 있는 환경을 git에 있는 repository에 연결하는 것 $ git remote add origin [깃저장소 주소} # orig..

    개념정리 2023. 12. 16. 09: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가보자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